본문 바로가기
커피 관련 정보

커피 전문점 커피빈 추락...이유를 알아보자.!

by !#%%@)*[%(] 2020. 8. 11.

커피 전문점 커피빈 추락...이유를 알아보자.!

먼저! 커피빈 역사부터 확인하고 커피빈 추락한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커피빈 역사

63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탄생한 커피빈은 미국 독일 한국등 서계 30여개 나라에서 1000여개 매장을 운영하는 글로벌 커피 브랜드다. 국내에서는 2000년 6월 설립된 커피빈 코리아가 지난해 말 기준 291개 매장을 직영으로 운영중이다. 지난해 말 기준 커피빈코리아 최대 주주는 지분 82%를 보유한 박상배 대표이고, 스타럭스가 11.6%지분율으로 2위로 대주주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스타럭스는 박대표가 지분 100%를 보유한 수입 브랜드 유통업체이다.

즉 박상배 대표가 커피빈 코리아 주인 이다.

 

커피빈 출범 초기만 해도 커피빈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호응은 엄청 뜨거웠다. 다소비싼 가격이지만 고급화 전략이 제대로 통하면서 2010년대 초반까지 스타벅스의 유일한 라이벌이라 불릴정도로 잘나가고 있었다.하지만 최근 커피빈코리아 와 스타벅스코리아는 라이벌이라는 무색할정도로 지금은 격차가 많이 벌어졌다.

커피빈

2009년 1000억원을 돌파한 커피빈코리아의 매출은 지난해 말 기준 1650억800만원에 머물러 있다. 같은기간 2040억 1600만원서 11조 8695만원 6000만원으로 8배가량 매출을 끌어올린 스타벅스 코리아의 1/10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심지어 커피빈 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대비 역신장했다.

정체된 매출도 문제지만 수익성 악화는 더 큰 골칫거리로 선정되었다. 16년부터 3년간 60억원대를 형성했던 커피빈 코리아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1억 4200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전년대비 96%감수한 수치다. 영업이익이 급락하면서 4$안박으로 나타냈던 영업이익률은 순식간으로 0.1%으로 내려갔다.

영업이익 급갑은 순손실으로 이어졌다. 18년을 제외하면 매년 30~70억원대 순이익을 냈던 커피빈코리아는 지난해 순손실1억8600만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영업외 비용이 82%으로 증가한 30억7900만원을 기록한게 결정적이였다. 18년의 경우 유형자산처분이익 120억 8200만원이 영업외수익으로 잡힌 일회성 효과로 인해 순이익 147억 4900만원을 달성한바 있다.

커피빈코리아 관꼐짜는 전매장을 직영으로 운영하는 관꼐로 매장 직원을 직접 고용하고 있으며, 최저임금이 지속적으로 인상되다 보니 인건비 지출이 늘었다며 또 총 22개 매장에 대한 리뉴얼 공사를 진행하면서 공사비용이 지출되었고, 이예 다른 대형 매장휴점으로 실적 부진의 이유라고 설명했다.

 

커피빈

지난해 말 기준 커피빈코리아의 총자산은 1586억2200만원으로 저년대비 9.5%늘었다. 총부채 21.8%증가한 영향이 크고 총자본은 14억가량이 줄어든 742억1400만원이다.

부채 증가하고 자본이 감소하면서 양호했던 부채비율에 불안전으로 내려갔다. 2008년 319.4%에 달하던 커피빈코리아는 부채비류은 꾸준한 하락세를 나타낸 끝에 2018년 100%밑으로 떨어졌지만, 지난해 113.7%로 다시 상승했다. 통상 부채비율은 200% 이하를 적정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어서 아직 큰문제는 아니지만 총부채가 총자본을 앞질렸다는 점은 유심하게 봐야한다.

차입금의 증가가 부채비율 상승에 영향을 준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커피빈코리아의 총차입금은 526억2800만원으로 전년대비 49.4%증가했다. 차입금 규모가 한층 커지면서 30%이하를 적정 수준으로 인식하는 차입금의존도는 23.4%에서 31.9%으로 올랐다.

특히 단기성 차입금에 의존하는 경향은 갈수록 뚜려해지고 있다. 총차입금의 7할 비중인 355억 6200만원이 1년내 상황을 필요하는차입금으로 분류된다. 단기 차입금 254억600만원,유동성장기차입금101억 5600만원이 여기에 해당한다. 단기차입금의존도는 18년과 지난해 각각 17.5%,22.4%였다.

이자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기차입금의 특성은 순이익 감소로 직결된 여지를 남기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커피빈코리아가 은행으로 단기로 찹한 금액 가운데 연이자율은 최고 3.25%였고 132억 2000만원으로 차입규모가 가장 컸던 하나은행 일반대출은 연이자율 최대 3%였다.

올해 역시 비슷한 규모로 이자부담을 짊어질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경우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이 순손실 전환에 영향을 주었다고 봐도 무리는 아니다.

댓글